S3 Bucket 및 객체에 대한 액세스 제어

  • IAM 정책
  • 액세스 제어 목록 (ACL)
  • 버킷 정책

Storage Class

  • Standard (액세스 주기가 짧다)

    • 자주 액세스하기 때문에, 비용은 높지만, 데이터 불러오는 속도는 빠르다
  • Infrequent Access

  • Glacier (액세스 주기가 길다)

    • 저장 비용이 가장 낮지만, deep archive된 만큼 데이터 불러오는 시간, 비용 크다
  • 액세스 패턴이 파악되었을 때 -> 수명 주기 규칙 설정

  • 액세스 패턴이 파악이 어려울 때 -> S3 Intelligent Tiering

Storage Gateway

  • S3가 File System 기반이 아닌 Object 기반이며, REST/HTTP 기반 통신이기 때문에 속도/사용성에서 불편함 존재
    • iSCSI 방식을 지원해주는 것이 Storage Gateway
      • 대부분의 백업 솔루션이 iSCSI 방식을 지원하기 떄문에,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의 백업 솔루션을 사용하면서
        데이터 저장만 S3에 할 수 있음 (S3의 안정성과 확장성이라는 장점만 가져올 수 있음)
    • 온프레미스 환경에 S3을 쉽게 Integration 할 수 있게 함

Storage Gateway 구성

Storage Gateway

  • S3를 iSCSI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appliance를 VM에 설치해야 한다.

Storage Gateway 구성 타입

  1. Gateway-Cached Volume
    Cached Volume
    • 데이터 저장은 S3에 하되, 자주 access하는 데이터는 appliance의 로컬 디스크에 cache 형태로 유지
    • S3의 네트워크 latency 제약을 cache를 통해 해결
    • 전체 파일 사이즈의 20% 이상 크기를 cache용 Volume으로 설정
    • Upload Buffer용 Volume(S3에 업로드 이전에 데이터를 잠깐 저장하는 용도)도 필요함.
      • 이후 SSL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업로드 수행
    • I/O가 빈번한 메인 스토리지로서는 용도 부적합
  2. Gateway-Stored Volume
    Stored Volume
    • 데이터 저장을 appliance 내 local storage(Local IDC)에 저장하고, 비동기적으로 S3에 스냅샷 형태로 백업하는 방식
    • Gateway-Cached 방식보다 빠른 데이터 access를 원할 때 사용
  3. Gateway-VTL Volume
    VTL Volume
    • Tape 방식 백업을 지원하는 솔루션에서 VTL(Virtual Tape Library)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, S3에 저장하고, 이를 장기 보관할 수 있도록 Glacier로 아카이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
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mazon SQS vs Amazon SNS  (0) 2021.02.24
Route 53은 어떤 서비스인가  (0) 2021.02.01
AWS VPC를 알아보자  (0) 2021.01.28
AWS IAM (Identity & Access Management)  (0) 2021.01.21
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  (0) 2021.01.21

+ Recent posts